의례프로그램_전통 상례 시연

전통 상례 시연

HOME > 체험프로그램 > 의례프로그램_전통 상례 시연

전통 상례 시연 사진

사업목적
  • 효(孝)를 바탕으로 공동체 사회를 올바르게 유지해가고자 갖는 의미를 되새기기 위함
  • 상례문화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죽음에 대한 의식과 양상을 살펴보는 기회 제공
  • 죽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되는지 혹은 사회나 문화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인식
사업의 필요성
  • 삶과 죽음, 그리고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
  • 생명존중과 가족주의적 집단의식, 그리고 유교적, 무속, 불교적인 요소를 느껴보고 전통상례의 절차 속에 나타난 윤리적 의미와 본질을 깨닫게 함
  • 영구한 이별이 아니라 상례를 통해서 다시 산자와 죽은 자가 유대를 맺어 효(孝)를 실현하는 기회를 제공
사업개요
  • 명      칭 : “전통상례시연”
  • 사업기간 : 2023년 연중 계속 사업
  • 장      소 : 하회마을 內 (마을회관 앞 → 강변)
  • 참가대상 : 하회마을 주민(마을노인회, 학예사, 마을청년회, 지역대학생, 관련분야 관계자)
  • 운영횟수 : 총 3회 진행, 14:00-16:30(운영일 홈페이지 사전공지)
  • 참가인원 : 시연단 30명 및 관광객
  • 진행내용
    • 상여의 명칭에 대한 설명과 전통상례의 유래를 설명
    • 초종, 염습을 제외한 상여놀이와 같은 시연 위주의 진행
    • 상여를 메고 선소리꾼의 인솔에 따라 장지로 이동
    • 선소리꾼과 상두꾼들은 민요를 부르며 이동
    • 전통방식의 상여놀이로 의상과 상구를 치장하여 참가
    • 관광객들은 상여에 노잣돈을 기부할 수 있고, 상두꾼과 어우러져 상여를 멜 수 있음
    • 장지로 이동한 상여는 하관하는 과정과 묘 다지는 소리 노래를 부르며 망자를 보냄
    • 상여놀이에 참가한 상두꾼과 관광객들은 먹거리를 먹으며 망자를 보냄

전통 상례 시연 사진

세부추진계획
내 용 시 간 소요시간 장 소
상여짜기 14:00~14:30 30분 마을회관 앞
상여의 명칭에 대한 설명과
전통상례의 유래 설명
14:30~14:50 20분 마을회관 앞
시연 및 이동 14:50~15:10 20분 마을회관 →강변뚝
상례음식 나누기 15:10~15:40 30분 강변뚝
이 동 15:40~16:00 20분 강변뚝→ 마을회관
상여 해체 및 마무리 16:00~16:30 30분 마을회관

* 본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기대효과
  • 생명존중 사상을 깨달음으로서 죽은 자의 신체와 정신을 소중히 여길 수 있음.
  • 부모를 위시한 조상은 자기 생명의 근원이기 때문에 종교적인 대상으로 추모하고, 금기적 흉례는 곧 상례를 마무리하면 길례로 변화시키는 좋은 기회로 삼을 수 있음.
  • 부계 중심적 가족주의 의례를 경험함으로서 전통적인 가족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
  • 죽은 자에 대한 예의의 기준은 살아있는 사람과 같다는 가치를 깨달음